TCP / IP - TCP / IP 계층의 기본 프로토콜
▶네트워크 접근 계층의 주요 개념
-MAC 주소
▶인터넷 계층의 프로토콜
-데이터그램
-IP
-IP 프로토콜의 개요와 개념
-IPv4와 IPv6
-IP 헤더
-IPv4 헤더 구조
-IPv6 헤더 구조
-IPv4와 IPv6의 비교
-IP 주소 클래스
-CLASS - A
-CLASS - B
-CLASS - C
-CLASS - D
-CLASS - E
-IP 주소의 체계
-공인 IP (Public IP)
-사설 IP (Private IP)
-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-서브넷 마스크와 서브넷팅
-서브넷 마스크의 개념
-서브넷 마스크의 구성 및 표현
-서브넷팅의 개년
-서브넷팅의 특징
-서브넷팅 계산 방법
-라우팅 프로토콜
-라우팅의 개요
-라우팅의 개념
-IP 라우팅의 개념
-라우팅 경로의 실시간 변동 가능성에 따른 라우팅 프로토콜의 분류
-정적 라우팅 (Static Routing)
-동적 라우팅 (Dynamic Routing)
-라우팅 범위에 따른 라우팅 프로토콜의 분류
-IGP (Internal Gateway Routing Protocol,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)
-EGP (Ex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, 외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)
-라우팅 프로토콜의 개념과 방식
-거리벡터 방식 (Distance Vector Routing)
-링크상태 방식 (Link State Routing)
-거리벡터 방식 vs 링크상태 방식
-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-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)
-개요
-동작 원리 및 구조
-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-개요
-방식에 따른 구분
-정적 (Static) NAT
-동적 (Dynamic) NAT
-PAT (Port Address Translation 혹은 Network-APT)
-방향에 따른 구분
-SNAT : 내부 사설 IP → 외부 공인 IP
-DNAT : 외부 공인 IP → 내부 사설 IP
-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, 인터넷 컨트롤 메시지 프로토콜)
-개요
-ICMP 헤더
-ICMP 메시지 종류
-Destination unreachable
-Source quech
-Redirection
-Echo request or replay
-Time exceeded
-Parameter problem
-Timestamp request and replay
-TTL (Time to Live)
-IGMP (Internet Group Mangement Protocol,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)
-개요
-데이터 전송 방식과 멀티캐스트
-IGMP의 헤더 (v2)
-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, 주소 명확화 프로토콜)
-개요
-주소 변환 및 확인 방법
-ARP Spoofing (ARP 스푸핑)
-RARP (Reverse Address Resolution, 역 주소 명확화 프로토콜)
-개요
▶전송 계층의 프로토콜
-전송 계층
-TCP vs UDP
-TCP (Trasmission Control Protocol)
-개요와 특징
-상태전이
- LISTEN
- SYN-SENT
- SYN-RCVD
- ESTABLISHED
- FIN-WAIT-1
- WAIT-CLOSE
- FIN-WAIT-2
- LAST-ACK
- CLOSING
- TIME-WAIT
- UNKNOWN
-흐름제어
-슬라이딩 윈도우
-혼잡제어
-TCP Slow Start
-Congestion Avoidance
-헤더의 구조와 특징
-Source Port Address
-Dest Port Address
-Sequence Number
-Acknowledgement Number
-Head Length
-Reserved
-URG
-ACK
-PUSH
-Retransmit
-Synchronization
-Finish data
-Window size (Receive Window)
-Checksum
-Urgent Data Pointer
-주로 사용한느포트의 개념과 특징
-FTP (20,21) -POP3 (110)
-TELNET (23) -IMAP (143)
-SMTP (25) -POP2 (109)
-HTTP (80)
-NTP (123)
-BGP (179)
-UDP (User Datagram Protocol)
-개요와 특징
-헤더의 구조와 특징
-Source Port Address
-Dest Port Address
-Length
-Checksum
-주로 사용하는 포트의 개념과 특징
-DNS (53)
-TFTP (69)
-WINS (137)
-SNMP (161, 162)
-NETBIOS (137, 1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