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격증/네트워크기사 2급

TCP / IP - TCP / IP 계층

사탕맛사과 2023. 4. 12. 00:38

▶TCP / IP의 구조와 특징
-애플리케이션 계층 (Application Layer)
-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-인터넷 (Internet Layer)
-네트워크 접근 계층 (Network Access)

▶TCP / IP의 구조와 OSI 7계층의 비교
-애플리케이션 계층 (Application Layer)
        - 7. 애플리케이션 계층
        - 6. 응용계층 (표현계층)
        - 5. 세션계층

-전송 계층
        - 4. 전송계층

-인터넷 계층
        - 3. 네트워크 계층

-네트워크 접근 게층 (Network Access)
        - 2. 데이터링크 계층
        - 1. 물리 계층

▶네트워크 접근 계층 (Network Access)
-Preamble
-SOF (Starting Frame Delimiter)
-Destination Address (목적지 주소)
-Source Address (원천 주소)
-Type (타입)
-DATA
-PAD
-FCS (Frame Check Sequence, 프레임 체크 시퀀스)

▶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
-데이터 전송
        -IP
        -ICMP
        -TCP / IP

-IP 주소와 MAC 주소 간의 변환
        -ARP
        -RARP

-멀티캐스팅
        -IGMP

-라우팅
        -BGP
        -OSPF
        -RIP

-인터넷 계층의 프로토콜 및 주요 개념
        -IP (Internet protocol)
        -라우팅 (Routing)
                -경로 설정 범위에 따른 분류
                        -IGP (Internal Gateway routing Protocol)
                        -EGP (Ex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)
                -경로 설정 방법에 따른 분류
                        -정적 라우팅 (Static Routing)
                        -동적 라우팅 (Dynamic Routing)
        -정적 라우팅 (Static Routing)
        -동적 라우팅 (Dynamic Routing)
        -Distance Vector Routing
        -Link State Routing
        -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        -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
        -IGMP (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)
        -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        -RARP (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)

▶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-TCP 헤더의 구성 (전체 32bit)
        -Source port address : 송신자의 포트 넘버
        -Dest port address : 수신자의 포트 넘버
        -Sequence number : 메시지의 순서
        -Acknowledgement number
        -Head length : TCP 헤더의 크기
        -Reserved : 예약 필드
        -URG : 급한 메시지인지 여부
        -ACK : ACK가 유효한지 여부
        -PUSH : 메시지를 PUSH해야 하는지 여부
        -Retransmit : 다시 보내기
        -Synchronization : 동기화
        -Finish data : 데이터 종료
        -Window Size (Receive Window) : 수신자의 윈도우 크기
        -Checksum : 에러 확인
        -Urgent Data Pointer : 급한 메시지의 위치 안내

-UDP 헤더의 구성
        -Source port address : 송신자의 포트 넘버
        -Dest port address : 수신자의 포트 넘버
        -Length : 헤더를 포함한 UDP 데이터그램의 전체 크기
        -Checksum : 에러 확인

▶TCP와 UDP의 비교

▶애플리케이션 계층 (Application Layer)
-애플리케이션 계층의 관련 서비스
        -FTP (File Transfer Protocol) : 파일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
        -DNS (Domain Name Server) : 도메인 이름 & IP 주소의 매칭 세트를 저장
        -HTTP 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: 인터넷 통신
        -SMTP 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 : 전자우편 (이메일) 전송
        -SNMP (Simple Nework Management Protocol) :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
        -Telnet : 원격 서버 접속

-TCP / IP 4계층의 주요 역할과 관련 개념
        -애플리케이션 계층 (Application Layer)
                -SMTP        -POP3        -SNTP
                -FTP           -DNS
                -HTTP        -Telnet
        -전송계층 (Transport Layer)
                -TCP        -UDP        -세그먼트
        -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
                -IP            -IGMP        -OSPF
                -IPv4        -ARP          -RIP
                -IPv6        -RARP       -라우팅
                -ICMP      -BGP          -라우터
                -데이터그램        -논리주소지정
                -TTL         -단편화와 재조합
                -서브넷 마스크           -서브넷팅
        -네트워크 접근 계층 (Network Access)
                -MAC 주소        -프레임